-
반응형
안녕하세요. 텀블러 들고 있는 Eun-dokki입니다.
RichProject 부동산 투자의 기본인 주택 면적의 의미와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권으로 끝내는 돈되는 재건축, 재개발(열정이넘쳐 지음) 책 내용을 참고 및 필사(筆寫)하였음을 밝힙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34평형 아파트의 실사용 주거전용면적은 사실 34평형(112㎡)보다 훨씬 작다는 사실은 대부분 알고 있습니다. 34평 아파트의 실사용 주거전용면적은 112㎡가 아니라 대부분 84㎡입니다.
이때, 실제 쓸 수 있는 공간인 84㎡가 바로 전용면적(주거전용면적)이고, '34평형'이라고 할 때의 34평(112㎡)이 바로 공급면적(분양면적)입니다. 공급면적은 전용면적에 엘리베이터, 복도, 계단 등 주거공용면적을 합한 것입니다.
그런데 아파트에는 지하주차장, 어린이집, 노인정, 경비실, 휘트니스센터 등 편의시설도 존재합니다. 이런 면적을 기타공용면적이라고 하는데, 이 기타공용면적을 포함해서 계산한 것이 바로 계약면적입니다. 전체 기타공용면적을 각 세대마다 전용면적의 비율대로 나눠서 공급면적에 합산한 것입니다.
세대 당 공급면적 = 주거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세대 당 계약면적 = 공급면적 + 기타공용면적주거전용면적, 주거공용면적, 기타공용면적 아래는 모 분양 아파트의 입주자 모집공고문 중 면적에 대한 부분입니다. 요즘은 분양할 때 공급면적이 아니라 주거전용면적으로 분양공고를 하는 것이 의무적이기 때문에 '25평형'이나 '34평형'이라는 말 대신, '전용면적 59㎡' 또는 '전용면적 84㎡' 등으로 공고를 합니다.
입주자 모집공고문 중 일부 위 표의 각 단어별 개념을 이해하고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의 뜻을 100% 이해하면 이번 포스팅은 성공적입니다. 주거공용면적과 기타공용면적의 뜻까지 추가로 이해하면 모든 면적 관련 의미를 헷갈리지 않고 설명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표를 자세히 살펴보면 전용면적이 59㎡의 세대 당 계약면적은 128.227㎡(38.8평) 내지 129.442㎡(39.2평)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전용 84㎡의 세대 당 계약면적은 181.124㎡(54.79평)입니다. 계약면적이 정확히 공식에 따라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여러 곳의 입주자 모집공고문을 분석한 결과 세대 당 계약면적은 대략 아래와 같았습니다.
※ 공급면적에 따른 일반적인 계약면적 크기
공급면적 전용면적 계약면적 25평형 59㎡ 약 40평 34평형 84㎡ 약 55평 앞으로 재건축의 사업성을 분석할 때에는 공급면적보다는 계약면적을 중요하게 보시기 바랍니다. 조합원 건축원가의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재건축/재개발 관련 RichProject는 계속됩니다~~
반응형'부동산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chProject-27] 재건축, 재개발 분담금과 프리미엄 계산방법② (0) 2022.02.03 [RichProject-26] 재건축, 재개발 분담금과 프리미엄 계산방법① (0) 2022.02.02 [RichProject-24] 재건축 일반분양 물량과 세대당 평균 대지지분만 봐도 사업성이 보인다 (0) 2022.01.31 [RichProject-23] 재건축 대지지분이 클수록 유리한 이유 (0) 2022.01.29 [RichProject-22] 재건축 일반분양 기여금액 구하기 (0) 2022.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