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1. 16.

    by. Eun-Dokki

    반응형

    안녕하세요. 텀블러 들고 있는 Eun-dokki입니다.

    RichProject 재건축, 재개발 사업의 공동주택 공시가격과 감정평가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권으로 끝내는 돈되는 재건축, 재개발(열정이넘쳐 지음) 책 내용을 참고 및 필사(筆寫)하였음을 밝힙니다.

     

     

     

    ◈ 공동주택 공시가격과 감정평가액의 관계

     

    집합건물(빌라 또는 아파트 등)의 감정평가액을 예측해보는 다른 방법은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지자체가 공동주택에 대해 실시한 감정평가 결과를 공식적으로 발표한 가격입니다.

     

    그러나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재산세 등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겨지기 때문에 재개발 사업의 감정평가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근 재개발 구역에 내 물건과 유사한 물건이 있다면 이 물건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확인하고 동시에 감정평가액도 확인합니다. 두 가지를 비교해서 감정평가액이 공동주택 공시가격의 몇 %나 나왔는지를 계산해보고, 이를 다시 나의 물건에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감정평가액이 1억원,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6,000만원인 주변 재개발 구역 내 물건이 있습니다.
    감정평가액과 공동주택 공시사격의 비율
    = (감정평가액 / 공동주택 공시가격) * 100
    = (1억원 / 6,000만원) * 100
    = 166%

    위의 비율을 그대로 내 물건에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내 물건의 공시가격이 7,000만원이라면 여기에 166%를 적용해 보는 것입니다. 그러면 내 물건의 예상 감정평가액은 약 1억1,620만원이라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상 감정평가액 = 7,000만원 * 166% = 1억1,620만원

    실제로 최근 빌라의 감정평가액은 공동주택 공시가격의 1.3~1.8배 정도로 나오는 추세여서 대략적인 감정평가액을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But, 감평가와 공동주택 공시가격의 비율에 따른 추정가는 정확한 감평가는 아니기 때문에 100% 믿어서는 안 됩니다. Why?

     

    실제로 감평가와 공동주택 공시가격의 비율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성남시 재개발 구역은 1.3~1.8배정도 나오지만, 의왕시나 안양시는 1.2~1.3배 정도로 평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감정평가액은 공동주택 공시가격의 몇 배'라는 공식은 지역별,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나므로 일률적으로 적욯하기는 불가능합니다.

     

     


     

    결론 :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좋지만, 100% 맹신하면 안 된다~!!!

    재건축/재개발 관련 RichProject는 계속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