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10. 4.

    by. Eun-Dokki

    반응형

    안녕하세요. 텀블러 들고 있는 Eun-dokki입니다.

    본인은 현재 다주택자가 아니어서, 지금까지 재테크를 하면서 "부동산 세금"이란 분야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습니다.

     

    소위 말하는 부동산 전문가들은 부동산 재테크도 결국에서 세금관리를 어떻게 하냐에 따라서 수익률이 갈린다고 하는 말들은 자주 들었습니다. (딱히 현재의 나에게는 해당되는 일들이 아니기에 큰 관심이 없었고, 솔직히 지금도 크게 와 닿는 상황은 아닙니다...ㅎㅎㅎ)

     

    여차저차 이승현 저자의 "부동산 절세 완전정복"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고, 부동산 투자에서 세금의 중요성과 나의 무지함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깨달을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습니다. 개인 부동산 공부의 흔적을 남기고자 "부동산 절세 완전정복"에 나오는 기본 절세 개념 및 방법에 대해서 필사(글을 베껴 씀)를 하고자 합니다.

     

     


     

    1. 부동산 세금의 종류

     

     

    취득세 : 부동산을 취득할 때 내는 세금. 매매금액에 따라 6억원 이하는 1%, 6억~9억원은 1~3%, 9억원 초과는 3% 세율이 적용된다.

     

    재산세 : 매년 6월1일 기준으로 주택을 소유한 사람에게 1년치 부과되는 세금, 7월과 9월에 나누어 납부한다. 

     

    종합부동산세 : 주택의 공시가격 합계액이 6억원(1세대 1주택 단독명의는 9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12월에 내는 세금.

     

    종합소득세 : 부동산을 임대해서 세를 받으면 내는 세금. 주택은 연간 수입금액이 2000만원 이하라면 14%의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가는 무조건 다른 근로소득, 사업소득 등과 합쳐서 다음 해 5월 말까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한다.

     

    양도소득세 : 부동산을 팔 때는 산 가격과 판 가격의 차이인 양도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증여세 : 생전에 배우자나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하는 경우에 부과되는 세금.

     

    상속세 : 사망으로 인해 재산이 상속되면 부과되는 세금.

     

     

    2. 부동산 세금 계산 방법

     

    모든 세금은 기본적으로 아래 공식으로 계산한다.

    세금 = 과세표준 * 세율

    과세표준이란? 세금을 부과할 때 기준이 되는 금액

    부동산 세금이 복잡한 이유는 세금별로 과세표준을 구하는 방법과 세율이 다양하고, 수시로 바뀌기 때문이다.

     

     

    3. 부동산 가격 용어

     

    세금은 국가가 부과하는 국세(양도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와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는 지방세(취득세, 재산세)로 나뉜다.

     

    부동산 종류별 기준시가와 시가표준액

     

    실거래가 : 부동산 매매 시 실제로 거래되는 가격.

     

    기준시가 : 양도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등 국세를 계산할 때 활용되는 가격. 실거래가나 시가를 모르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시가표준액 : 취득세, 재산세 등 지방세를 계산할 때 활용되는 가격.

     

    공시가격 : 정부가 조사하고 산정하여 공시하는 부동산가격. 기준시가 및 시가표준액으로 이용된다. 

     

    공시지가 : 건축물을 제외한 순수 땅값만 조사, 평가해 공시한 m2당 가격을 말한다.

     

     


     

    현정권의 강력한 부동산 세금 규제정책과 잦은 세법 개정으로 인해 일반 사람들은 세금 계산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복잡하고 세부적인 세금계산은 세무사한테 의뢰를 하는 것이 큰 손실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세금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에 대한 스터디는 필수라고 생각하며, 계속 이어나가고자 합니다.

     

    반응형